가을 단풍놀이를 다녀왔습니다. 단풍 구경하면 설악산도 유명하고 내장산도 유명합니다. 그런데 저는 그리 멀리는 못가고 해마다 찾아가는 곳이 있습니다. 청도 운문사를 거쳐서 언양 석남사에 들러, 가지산을 타고 밀양으로 돌아오는 길입니다.
해마다 이 길을 찾지만 갈 때마다 느낌이 제각각 다릅니다. 어느 시기에 가느냐가 다르고, 누구와 함께 하느냐가 다릅니다. 거기에 더해서 그 해 기후에 따라서도 단풍의 색깔이나 모양이 다 다릅니다.
올해는 정말 눈이 부셨습니다. 이처럼 단풍이 곱게 물든 적을 거의 보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붉은색은 붉은색대로 노란색은 노란색대로 만지면 손바닥에 색깔이 그대로 묻어날 것만 같았습니다.
|
|
사방으로 둘러싸인 산이 물들기 시작하면 운문사는 단풍배에 실려 둥둥 떠다닙니다. 잎이 다 질 때까지 쉼없이 손님을 싣고 내리기를 반복하면서 유랑을 합니다. 단풍을 두고 표현이 좀 오바스럽지만 운문사에 가면 지금 제가 한 이 표현이 문득 생각나는 분이 있으실지도 모르겠습니다.
간밤에 진저리를 치며 비바람이 불어대더니 그 사이에 운문사 단풍이 우수수 떨어져 버렸습니다. 가는 날에는 나무에 매달린 단풍보다는 발 밑에 깔린 낙엽이 더 수북했습니다. 또 그런대로 좋았습니다. 단풍구경을 온 사람들은 땅은 보지 않고 하늘만 쳐다보며 지고 없는 단풍을 아쉬워했습니다. 그나마 몇그루 남아있는 나무들이 마지막 단풍 손님을 받고 있었습니다.
|
|
혼자 터벅 터벅 걸어내려오다 단풍나무 한 그루를 만났습니다. 고개를 들어 우러러 봤습니다. 가을이면 떨구었다 따뜻한 봄날에 또다시 잎을 피워내는 일을 족히 수백 번은 했을 것 같았습니다.
마지막 앞에서 저리도 당당한 것은 기약할 수 있는 것들의 자만이기도 하겠지요. 만약 인간이 죽은 후에 지금 내가 살고 있는 곳으로 또다시 돌아올 수 있다면... 지금 만나는 사람들을 다시 만난다면... 문득 그런 생각을 해 봤습니다.
어떤가요? 그 물음 앞에 어떻게 대답을 하고 싶으신지요. 그러고 싶다는 사람들이 더 많을까요? 아닐까요? 궁금합니다만, 저는 다시는 이곳으로 돌아오고 싶지 않습니다. 그냥 그렇습니다...
나무 아래서 저 처럼 혼자서 열심히 단풍을 사진에 담는 남자분이 있었습니다. 은발을 휘날리며 사진을 찍으러 다니는 모습이 근사해보였습니다. 단풍처럼 찬란하게는 아니더라도 저 정도로만 늙어져도 괜찮겠다 싶었습니다.
|
|
석남사 가는 길에 떨어진 낙엽들이 융단처럼 깔려 있었습니다. 아이도, 어른도, 남자도, 여자도 무심히 밟고 지나갑니다. 밟으면서 즐거워합니다. 나무는 아낌없이 나누어줄 줄 압니다. 그런데 사람은 아낌없이 주는 게 어렵습니다. 따지고 계산을 합니다. 신이 인간에게 내린 이성은 항상 긍정적인데 사용되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자연 속에서 주인공은 인간이라고 착각을 합니다. 주인공의 오만함은 자연의 겸손함 앞에서 별로 빛이 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그걸 잘 모릅니다. 세상에서 인간만큼 자뻑이 심한 존재가 없는 것 같습니다.
|
|
|
석남사 단풍에 취해서 대웅전은 둘러보지도 못했습니다. 그런데 정작 단풍 잔치는 시작에 불과했습니다. 가지산은 전체가 온통 천연색 물감을 들어부어 놓은 것 같았습니다. 초겨을 문턱으로 들어서서 떠나보내는 가을 끝이 이렇게 대책없이 찬란해도 좋은지 싶었습니다.
활엽수가 많은 산은 나이가 많은 산이라고 들었습니다. 나이 먹어가면서 산은 부드러워지고 따뜻해집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산하고는 반대인 것 같습니다. 늙어가면서 물기가 빠져 몸도 마음도 건조해집니다. 메마를수록 오종종해집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산을 닮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산 단풍을 보면서 했습니다.
|
|
나무에 매달렸어도 땅에 떨어졌어도 단풍은 저어함이 없습니다.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 주어진대로 받아들입니다. 무심함 속에 가을은 또 그렇게 지나가고 있었습니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스 타고 지역 열배 즐기기 원동마을 가봤더니~ (4) | 2011.03.28 |
---|---|
간절한 소원을 이루는 두가지 방법 (4) | 2011.02.02 |
우포늪 일출 광경 촬영기 (15) | 2011.01.04 |
거가대교 타고 동백꽃 보고 왔지요~ (2) | 2011.01.03 |
강화도~ 그리 멀지 않던데요 (6) | 2010.10.02 |
댓글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