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야기

예술촌과 창동이 함께 살아남는 법에 대하여

by 달그리메 2012. 10. 11.

마산은 지금 창동예술촌이 대세입니다. 모처럼 마산 시내에 다녀오신 분들은 "요새 창동에 무신 일이 있는겨~? 그렇게 묻곤 합니다." 예전의 화려했던 시절에 비기자면 조족지혈이겠지만 그동안 내리막을 치닫던 창동과 비교해보면 분위기가 확실히 달라졌습니다.

 

사람이 모이고 흩어지는 것은 물이 흐르는 것이나, 길이 만들어지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골이 깊으면 물길도 따라 생기는 것이고, 사람이 많이 다니게 되면 자연스럽게 길이 나는 법입니다. 창동이 쇠락의 길을 걷게 된 것도 사람들이 많이 모여들 수 있는 주변 여건이 변하면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지금 창원시에서 진행하고 있는 창동예술촌 만들기 프로젝트는 요즘 한창 바람을 타고 있는 마을만들기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그 지역의 특성을 살려 볼거리 누릴거리를 만들고 다듬어서 사람들의 발길을 끌어모아 지역을 활성화한다는 면에서 보자면 취지가 다르지 않는 것 같습니다.

 

마을만들기를 위해 마을을 선정할 때는 여러가지 가능성을 타진해보게 됩니다. 그러니까 어떤 마을이나 지역을 두고 프로젝트를 한다는 것은 일단 뭔가 그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 입니다. 기존에 가지고 있는 가치를 새롭게 부각시키고 더불어 그 가치를 빛낼 수 있는 새로운 가치를 함께 부여하게 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창원시에서 하고 있는 '창동예술촌' 만들기는 창동에 남아있는 추억과 역사라는 풍성한 소재에다 예술이라는 새로운 꺼리를 조합해서 창동의 옛 영화를 되살리는 일을 시도하게 됩니다. 제대로만 한다면 성공할 수 있는 요인을 많이 가지고 있는 곳이 창동입니다.

 

 

이번 창동예술촌을 알리는 블로거 팸투어는 지역에 살고있는 블로거와 타 지역에 살고있는 블로거들을 의도적으로 다양하게 섞어서 진행을 했습니다. 블로거의 특징이 지역 구분이 없는 것인데, 그럼에도 구분을 해서 구성을 했던 것은 안에서 보는 시각과 밖에서 보는 시각을 골고루 반영하고 싶은 창원시의 의도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지역에 살고 있는 블로거들의 반응은 이랬습니다. "우와~이 곳이 정말 창동 맞나? 정말 많이 달라졌네." 다른 지역에서 온 블로거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우와~ 마산에 이렇게 좋은 곳도 있었나? 정말 좋네" 창동이 많이 달라졌다~ 좋아졌다~ 좋다~ 이런 느낌은 대체로 공통적이었습니다.

 

이런 저런 칭찬 말고 또 한가지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과연 창동예술촌이 제대로 자리를 잡아 창동살리기를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지금은 창원시에서 지원을 하니까 이 정도의 부활이 가능한 것이지 지원이 끊어지게 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살아남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다들 고개를 갸웃하는 분위기였습니다.

 

 

어떤 블로거는 말기 암환자한테 곱게 화장을 시키고 멋진 옷을 입히는 것과 뭐냐 다르냐는 표현을 하기도 했고, 할성화되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아까운 세금만 낭비하게 되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블로거도 있었습니다. 지역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힘보다는 자연스러운 현상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다들 인지하고 있다는 뜻 일 겁니다.    

 

그 대안으로 젊은이들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영화관을 유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고, 마산 바다를 살리고 도심 전체를 선으로 이어주는 자전거길을 만드는 도시 정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는 분도 있었습니다.

 

그런 의견들이 다들 틀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저는 창동을 살리는 일을 두고 창동이 안고 있는 현실적인 한계와 도시 전체를 재정비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근본적인 문제 의식과는 다르게 순수하게 '창동예술촌' 만을 두고 이야기를 해보고 싶습니다. 창동예술촌 팸투어를 앞두고 이런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어떤 분과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습니다. 아래 내용은 그 분과 나눈 대화를 대략 옮긴 것입니다

 

 

나 : 창원시에서 기획하고 있는 창동예술촌 만들기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 : 창동을 살리자는데 예술촌을 만들겠다는 아이디어는 훌륭하다.

      다만 방법의 문제를 생각해야 한다.

 

나 : 방법상의 문제라면?

 

그 : 창동예술촌을 만들어놓고 인위적인 홍보를 해서 알리는 것은 한계가 있다.

      한국에서 가장 위력이 있는 것은 입소문이다. 입소문을 활용해야 한다.

 

나 : 입소문도 무조건 낼 수 있는 게 아니지 않은가?

 

그 : 맞다~

      입소문의 바탕에는 실력이고 실력이 없으면 파급력이 생기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게 생각해보면 간단하다. 우선은 창동예술촌이라는 프로젝트를 두고

      창동을 살린다 만다는 싹 빼버리고 오로지 '창동예술촌' 이라는 것에 올인해야 한다.

 

나 : 올인한다는 의미는?

 

그 :  말 그대로다

       공무원이 나서서 이러쿵 저러쿵 관여를 하게 되면

       우선 전시효과는 있겠지만 예술촌으로 성장하는 것은 어렵다.

       관이 직접 나서서 예술촌을 성공시킨 경우는 드물다. 

       공무원은 배후에 있고 예술인을 키울 수 있는 전문 에이전시를 톻해

       이 기획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풀어주신다면?

 

그 : 대한민국 공무원은 최고급 엘리트다. 

      물론 공무원이 나서서 직접할 수도 있겠지만 

      전문인을 앞세우고 전문인을 관리하는 쪽으로 업무 형태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가난하지만 능력있는 예술가들을 키워라. 그 일을 에이전시에게 맡기는 것이다.

      창동에 가면 전도유망한 예술가들이 많더라~ 

      창동에 가면 훌륭한 작품을 마음껏 구경할 수가 있다~

      이런 입소문이 나면 창동은 저절로 살아나게 될 것이다. 

      창동에서 활약하는 작가가 유명해지면

      창동도 저절로 유명해지는 것은 당연하지 않은가.

 

나 : 현실적으로 가능한 이야기인가?

 

그 : 미국에서도 그런 사례는 있다.

      허름한 상가를 공짜로 빌려주고 마음껏 작업을 하게 하고

      그 작가가 명성을 얻으면서 그 지역 전체가 유명해진 경우가 그렇다. 

      창동예술촌에서 전국대회도 개최하고 해서 작가들을 키우는 일을 해야 한다.

 

나 : 그러기 위해서 가장 선행되어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그 : 당연히 공무원들의 마인드와 입주 예술인들의 기량이다.

      이 두가지가 맞아떨어진다면 창동예술촌은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지 않겠는가?

 

      양보다 질이라는 말은 이 경우에도 아주 중요하다.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예술적인 안목도 상당한 수준이 되었다.

      눈요기꺼리를 전시해놓고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것은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 기량을 바탕으로 하는 자생력이 예술촌의 성패를 가르는 요인이

      아닌가 싶다.

 

 

이 대화를 읽으시는 분들 가운데는 고개를 끄덕이는 분도 있을 거고, 이론은 맞지만 현실적으로 실행하기에는 너무 거창한 게 아니냐고 생각하시는 분도 있을 겁니다. 어떤 쪽이 더 옳고 그른지를 떠나 창동예술촌을 두고 한번쯤은 새겨볼만한 이야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창동예술촌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기대반 걱정반입니다. 팸투어를 하면서 만나본 예술인들 가운데는 역량과 열정을 가지고 계시는 분도 많았지만, 적당히 간판만 내 걸고 있거나 문을 닫은 곳도 눈에 띄었습니다. 열악한 지원에 대한 불만도 있었고 불안정한 수입에 대한 고민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제 생각이긴 하지만 모든 조건이 충족되면 예술을 열심히 잘 하겠다 이런 건 불가능한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주어진 조건에서 자신의 기량을 다듬어가면서 작품 세계를 완성해나갈 수 있는 열정과 끼가 예술인에게는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것이겠지요.

일단 시작은 성공적인 것 같습니다. 시 지원이 끊어지는 2년 후에는 창동예술촌이 과연 어떤 모습으로 변해 있을지 궁금합니다.

 

 

댓글